본문 바로가기

국민건강보험3

국민건강보험료 또 인상, 2023년 달라진 국민건강보험 1. 건강보험료율 1.49% 인상 2023년부터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이 2022년에 비해 0.1%p 오른 7.09%가 적용됩니다. (직장가입자 보수월액보험료 = 보수월액 x 보험료율)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도 부과점수당 금액을 205.3원에서 208.4원으로 3.1원 인상합니다. (지역가입자 세대당 보험료 = [소득(정률제) + 재산 점수 + 자동차 점수] X 부과점수당 금액) 평균보험료로 살펴보면 직장가입자 보험료는 14만 4,643원에서 14만 6,712원으로 매월 2,069원, 지역가입자 보험료는 10만 5,843원에서 10만 7,441원으로 1,598원이 인상된 것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2년 0.8577%에서 2023년 0.9082%로 0.0505%p 인상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노인의료비 증.. 2023. 2. 3.
건강보험료 계산 :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가 납부할 보험료 1.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가입 대상입니다. 소득과 보유 재산, 자동차를 고려해 보험료를 계산하는 구조입니다.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가입자의 소득, 재산(전월세 포함), 자동차 등을 기준으로 정한 부과요소별 점수를 합산한 보험료 부과점수에 점수당 금액을 곱하여 보험료를 산정한 후, 경감률 등을 적용하여 세대단위로 부과합니다. 직장가입자는 소득을 기준으로 했다는 점에서, 지역가입자와 차이가 있습니다. 1) 보험료 계산방법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의 경우 직장가입자와 비교했을 때 보험료가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2년 9월 1일부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지역가입자 소득점수제로 소득을 97등급으로 나누어 점수.. 2023. 1. 14.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국민의 의료보험 : 국민건강보험 1. 국민건강보험(National Health Insurance)이란 ? 국민건강보험(國民健康保險)은 정부가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social insurance)의 하나로 공공의료보험(Public Health Care)에 속한다. 정부가 운영하는 4대 사회보험에는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이 있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포함하여 5대 사회보험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우연히 발생하는 재해(부상)이나 질병 때문에 발생하는 높은 진료비로 가계에 큰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이 보험의 목적이다. 보험원리에 따라 국민들이 평소 보험료를 지불하고 이를 기금화하여 사고가 생겼을 경우 보험급여를 지불함으로써 국민 서로가 위험을 나눠 부담하고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 2023. 1. 14.